[호주유학, 영주권학과]호주유학 으로 치기공사가 되고 싶으세요?????

2013. 7. 10. 11:42호주대학교 인기학과/그외전공


안녕하세요. 호주유학전문가 양미혜(OLVIA YANG)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TAFE- Dental Technology- 치기공사 과정을 소개시켜드리겠습니다


치기공사는 새로발표된 직업군인 SOL 에 포함된 직업군으로 호주내에서 인력조달이힘들어 외부인력을 유치하고자 하는 직업군입니다. 그러므로,호주에서공부를 하는 학생들에게는 영주권의기회르 더욱더 제공하는 직업군이라 할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치과기공소와 달리, 호주내에서는 근무환경조성과치기공사들에 대한 대우를 높게 해주기 때문에 일단 호주에서의 치기공사는 평생직장이라할만큼 일단 직장을 구하면 이직율이 적고, 보인이가진 기술의완성도가높을 수록 더욱더  높은 수익을창출하게되는 그런안정적인 직업입니다.


더군다나,이과정을 인가 받은 학교는 TAFE NSW(Randwick Campus), 시드니, South bank TAFE 브리즈번, Holmesglen TAFE 멜번 그리고 TAFE SA 애들에이드 인점을 통해 알수있듯이 각주의 대표도시 그리고 그도시가 위치한 주정부가 운영하는 정부대학인 TAFE 에만 과정이 개설되어있고 입학정원도 적기때문에 해당 과정을 이수하는 분들은 직업의 기회나 영주권의 기회가 그만큼 크다고 할수 있습니다.


TAFE NSW 는 호주내에서 가장 인정받는 전문대학이고 가장 큰 규모와 가장 큰규모와 가장 좋은 시설 그리고 뛰어난강사진을 보유한 학교입니다. 뿐만아니라, Randwick 캠퍼스는 본다이비치가 내려다보이는 시드니의 가장 중요한 요지이기도하고, 호주최고의 대학교인 UNSW 대학교가 위치한 바로 그 지역이기도 합니다.









호주에서 가장 큰주이자, 가장 활성화된주 그리고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인 NSW 그리고 그주의 수도인 시드니에 유일하게 치기공학과를 개설한 캠퍼스가 바로 TAFE NSW 의 Randwick 캠퍼스이며 TAFE NSW 를 졸업하는 학생들이 시드니 지역, 울릉공, 뉴캐슬 등 NSW주에 위치한 치공소 혹은 텐달  병원내의 치기공사로활동하게 됩니다


정부가 직접 운영하느 학교 로써 또한 호주내에서 가장 크고 인지도가 높은 학교가 바로 TAFE NSW 라는 점에서 유능한 강사진을 많이 확보하고 있고, 정부의 투자정책으로 시설 또는 최고의 수준으로 항상 유지되고 있어서 진정 치기공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많은 학생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과정의 구성은 총 2년으로되어있으며, 디플로마를 획득시 호주 유학생영주권 카테고리로 독립기술이민이 가능합니다.


특히 TAFE NSW치기공학과는 마감이 정말 빨리 되므로 , 본인이 희망하는 시기보다 약 1년전에 학교신청을 해야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학교에서 예상치 못하게 자리가 나는 충원계획을 기다려야하나, 실제로 이런 충원계획을 믿고 유학 계획을 세우는것은 성공적인 유학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생각과 결정은 신중하게  그리고 행동은 빠르게 하시기 바랍니다




캠퍼스

Randwick


입학날짜

2월, 7월



입학조건

아이엘츠 6.0


학비

$1432



학교특징

1, 호주 최대최고의 교육기관이 NSW 호주국립전문대학(TAFE NSW)의 학위

2, 뛰어난 강사진과 최대/최고의 시설을 겸비

3, 호주내 공신력 1위인 TAFE(국립전문대학) 수료증 수여

4,유급/ 무급 실습을 보장하지는 않으나, TAFE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취업지원센터의 적극적 지원을 받을 수 있음

5, 호주 현지학생들과의 교류가능


직업특징

안정성의 높은 직업

영주권 취득후 개인 사업가능

높은 연봉이 보장되는 직종












호주유학을 꼭 성공하기 위해서는 호주유학에 대한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수적입니다. 보다 자세한 상담을 위해서 아래 상담카드 작성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럼 해당분야 전문가와 무료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카톡아이디: mercury603 | 직통전화: 070 4640 0891 | 이메일: olivia@uhakstation.com